search for



Association between Change in Sitting Time and Risk of Developing Hypertension: An 8-Year Longitudinal Follow-up Study with Cohort Data Analysis in Korea
Korean J Sports Med 2024;42:193-201
Published online September 1, 2024;  https://doi.org/10.5763/kjsm.2024.42.3.193
© 2024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Medicine.

DooYong Park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Correspondence to: DooYong Park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 Gwanak-ro, Gwanak-gu, Seoul 08826, Korea
Tel: +82-2-880-7490, Fax: +82-2-866-9144, E-mail: pdy0114@snu.ac.kr
Received March 27, 2024; Revised May 7, 2024; Accepted May 23,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changes in sitting time based on sex and levels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risk of hypertension.
Methods: Conducted as a follow-up to the 2011–2012 baseline survey in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community-based cohort study, the 4th tracking took place from 2019 to 2020 in Korea, involving adults aged 49 to 79 years. Hypertension status was determined based on systolic blood pressure ≥ 140 mm Hg, diastolic blood pressure ≥ 90 mm Hg, self-reported diagnosis, or medication usage. Change in sitting time was measured using a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The study utilized multivariate extended Cox regression models to calculate independent risk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risk of developing hypertension based on change in sitting time, with a significance level set at p < 0.05.
Results: Despite adjusting for various factors affecting sitting time and hypertension, total sitting time (hazard ratio [HR], 1.37; 95% CI, 1.05–1.78) and weekday sitting time (HR, 1.34; 95% CI, 1.03–1.76) in the newly ST group showed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hypertension. It was observed that increased total and weekday sitting time in males could elevate hypertension risk (total newly ST: HR, 1.52; 95% CI, 1.05–2.21; weekday newly ST: HR, 1.57; 95% CI, 1.08–2.28). Additionally, the association between changes in sitting time and risk of developing hypertension varied based on leisure-related physical activity levels.
Conclusion: The study confirms that increased sitting time raises the risk of hypertension and that reducing sitting time in physically inactive adults can lower the risk of developing hypertension.
Keywords : Sedentary behavior, Hypertension, Epidemiology, Longitudinal studies, Aging, Aged
서 론

고혈압은 뇌심혈ꎀ 질환의 발생 위험을 슝가시킀는 의료적 상태륌 의믞하며, 전 섞계의 1/4읎 고혈압을 앓고 있Ʞ 때묞에 고혈압의 음찚적 예방읎 쀑요한 국가적 곌제임을 시사하고 있닀1. 2021년에 진행된 국믌걎강영양조사에 따륎멎, 30ì„ž 읎상 고혈압 유병률은 33.2%였윌나 65ì„ž 읎상 고혈압 유병률은 63.3%로 절반 읎상의 녞읞읎 고혈압을 앓고 있고, 녞읞음수록 고혈압 위험에 더 쉜게 녞출되얎 있음을 알 수 있었닀2. 현재까지 고혈압을 ꎀ늬하는 방법 쀑 신첎활동 ì°žì—¬ 슝가에 ꎀ심을 가젞왔윌나3, 최귌 연구 결곌듀은 신첎적윌로 활동적읞 띌읎프 슀타음의 읎점읎 심혈ꎀ 걎강에 읎득을 제공하고 있Ʞ는 하나 대부분의 사람은 신첎적윌로 비활동적읎Ʞ 때묞에, 좌식행동의 빈도륌 쀄읎고 Ɥ정적윌로 변화시킀는 전략읎 고혈압 발생률을 낮추고 고혈압 ꎀ렚 앜묌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잠재력읎 있음을 시사하였닀4.

좌식행동곌 고혈압 발생 위험의 연ꎀ성에 대한 선행연구에 따륎멎, 좌식행동의 슝가는 여가 ꎀ렚 신첎활동 찞여와 독늜적윌로 고혈압 발생 위험을 크게 늘늬고5, 수축Ʞ 혈압곌 읎완Ʞ 혈압을 슝가시킀는 요읞임을 확읞할 수 있었닀6. 또한 닀수의 싀험 연구에서 지속된 좌식시간을 서Ʞ나 ê±·êž°ë¡œ 대첎했을 때 수축Ʞ 혈압읎나 읎완Ʞ 혈압읎 감소하는 것을 확읞할 수 있었윌며7,8, 특히 고혈압 전 닚계에 있는 성읞의 겜우에서도 같은 결곌륌 확읞할 수 있었닀8.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신첎활동곌 고혈압 발생에 대한 연구였윌며9, 좌식행동곌 고혈압 ꎀ렚 소수의 연구듀은 죌로 íš¡ë‹š 분석윌로 진행되얎 왔닀6. 또한 좌식행동곌 고혈압 발생 위험에 대한 연구 결곌가 졎재하였윌나, 질병 발생에 있얎 생활 습ꎀ곌 생묌학적 요읞에 큰 영향을 끌치는 성별 찚읎륌 확읞할 수 없었고, 특히 좌식시간의 변화에 대한 고혈압 발생 위험을 확읞할 수는 없었닀5. 추가로 현재까지 고혈압 ꎀ늬 및 치료 지칚에서는 좌식행동의 감소륌 권고하지 않고 있는데, 읎는 좌식행동의 변화와 고혈압의 질환 발생에 대한 연구 결곌가 아직 부족핚을 시사한닀10.

따띌서 볞 연구에서는 성별, 신첎활동 ì°žì—¬ 수쀀별 좌식시간의 변화와 고혈압 발생 위험의 연ꎀ성을 확읞하고, 좌식시간의 변화륌 쎝 좌식시간, 죌쀑 좌식시간, 죌말 좌식시간의 변화로 구분하여 좌식시간 팚턎에 따띌 고혈압 발생 위험에 ì–Žë– í•œ 연ꎀ성을 볎읎는지 확읞하고자 하였닀.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볞 연구에서는 한국읞을 대상윌로 걎강 및 생활 습ꎀ 정볎 등을 조사하여 만성질환 발생을 예방하Ʞ 위한 대규몚 윔혞튞 조사읞 한국읞 유전첎 역학조사(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에서 얻은 데읎터륌 토대로 분석에 활용하였닀11. 볞 연구는 KoGES 지역사회 êž°ë°˜ 윔혞튞 연구에 찞여한 음반 성읞듀을 대상윌로 2011–2012년 Ʞ반조사 읎후 2019–2020년 2–4ì°š 추적읎 진행된 겜Ʞ도 안산시에 거죌하는 49섞부터 79섞의 음반 성읞듀을 선정하였닀. 전화, 우펞, 거죌지 방묞 등의 방법윌로 쎝 3,052명을 몚집하였고, Ʞ반조사에서 고혈압(n=1,114), 심장질환(n=10)읎 있는 1,124명을 제왞한 1,928명을 대상윌로 하였닀. 읎 쀑 2회 읎상 추적 ꎀ찰을 진행하지 않았거나, 고혈압곌 좌식시간의 변화에 영향을 끌치는 변수(나읎, 성별, 수멎 시간, 신첎활동 ì°žì—¬ 시간, 소득 수쀀, 흡연, 음죌, 엌슝 수쀀, 신장 Ʞ능, 비만, 당뇚, 읎상지질혈슝)에 결잡읎 있는 대상자 247명을 제왞한 1,681명을 최종 대상자로 하였닀. 대상자의 평균 추적Ʞ간은 6.74년읎었닀.

볞 연구 조사는 지역사회 Ʞ반조사 싀시Ʞꎀ읞 고렀대학교 의곌대학 안산병원곌 서욞대학교 생명윀늬위원회의 승읞을 거쳀윌며(No. E2112/001-009), 연구 찞여자는 연구 목적곌 낎용을 읎핎한 후 연구 ì°žì—¬ 서멎 동의서에 서명하였닀.

2. ìž¡ì • 변읞

1) 고혈압 유병

고혈압 Ʞ쀀은 선행연구에 따띌 수축Ʞ 혈압 ≥140 mm Hg, 읎완Ʞ 혈압 ≥90 mm Hg읎거나, 자가 섀묞지륌 통핎 고혈압을 진닚받았거나, 고혈압 앜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윌로 규정하였닀12,13.

2) 좌식시간의 변화

쎝 좌식시간은 “지난 음죌음간 죌쀑 하룚에 앉아서 볎낞 시간은 볎통 얌마나 됩니까?”와 “지난 음죌음간 죌말 하룚에 앉아서 볎낞 시간은 볎통 얌마나 됩니까?”에 답변한 시간을 토대로 {(죌쀑 좌식시간×5)(죌말 좌식시간×2)}/7로 음음 쎝 좌식시간을 산출하였닀. 추가로 좌식시간을 잡정하Ʞ 위한 섀묞지 ë‚Žìš© 쀑 직장, 집, 학업, 여가 활동 쀑에 앉아서 볎낞 시간은 포핚되었윌나, 교통수닚을 읎용할 때 앉아 있던 시간은 포핚되지 않았닀.

죌쀑, 죌말, 쎝 좌식시간의 변화 정도는 선행연구에 따띌 2011–2012년 Ʞ반조사에서 잡정된 죌쀑, 죌말, 쎝 좌식시간곌 2013–2014년 1ì°š 추적조사에서 잡정된 음음 쎝 좌식시간에 대핮 쎝 4귞룹윌로 구성하였닀. 좌식행동의 변화와 심혈ꎀ 질환 사망 발생의 연ꎀ성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유의믞한 연ꎀ성을 볎읞 좌식시간(7시간)을 Ʞ쀀윌로, Ʞ반조사와 1ì°š 추적조사의 좌식시간읎 몚두 7시간 읎상음 겜우 “consistently ST”, Ʞ반조사의 좌식시간읎 7시간 믞만읎고 1ì°š 추적조사의 좌식시간읎 7시간 읎상음 겜우 “newly ST”, Ʞ반조사의 좌식시간읎 7시간 읎상읎고 1ì°š 추적조사의 좌식시간읎 7시간 믞만음 겜우 “formerly ST”, Ʞ반조사와 1ì°š 추적조사의 좌식시간읎 몚두 7시간 믞만음 겜우 “consistently non-ST”로 구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닀14.

3) 혈액 변읞

몚든 조사 찞여자에게 8시간 읎상 공복 상태륌 유지하게 한 후 혈청을 채췚하여 음반 혈액검사륌 시행하였닀. 검사 당음 채췚된 혈액 샘플은 현장에서 원심분늬Ʞ로 처늬 후 서욞의곌학연구소(Seoul Clinical Laboratory)로 볎낎 ADVIA 1800 auto analyzer (Siemens)륌 통핎 분석하였닀. 검사로부터 얻얎진 결곌 쀑 고혈압곌 연ꎀ된 고감도 C-반응성 닚백질(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곌 혈쀑 크레아티닌을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닀. 검첎 처늬 및 저장은 검진을 통하여 채췚된 혈액을 통하여 추출된 혈청은 질병ꎀ늬청 유전첎연구팀에서 음ꎄ적윌로 볎ꎀ하였닀. 추정 사구첎여곌윚(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io, eGFR)은 선행연구에 귌거하여 혈쀑 크레아티닌을 읎용한 MDRD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study 공식(in mL/min per 1.73 m2=175×serum creatinine–1.154×age–0.203×[0.742 if female])윌로 값을 산출하여 연속 변수로 분석에 읎용하였닀15.

4) 섀묞조사 및 Ʞ타 변수

조사요원에 의한 음대음 ë©Žì ‘ 섀묞윌로 싀시하였고 당음 조사 후 섀묞을 검토하여 수정 볎완 작업을 통하여 섀묞지의 완성도륌 높였닀. 신첎 계잡은 신장(cm), 첎쀑(kg)을 잡정하였닀. 신장곌 첎쀑은 한 번씩 잡정하였윌며, 비만 수쀀을 결정하Ʞ 위핎 첎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첎쀑[kg]/신장의 제곱[m2])륌 분석에 읎용하였닀. 혈압곌 심박수는 혈압계륌 통핎 잡정하였윌며, 수축Ʞ 혈압곌 읎완Ʞ 혈압은 였륞쪜곌 왌쪜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여 각각 분석에 활용하였닀. 음죌 여부는 “귀하는 원래 술을 못 마시거나 또는 처음부터 술을 안 마십니까?”의 질묞에 ‘예’로 답할 겜우 ‘음죌 겜험 없음,’ ‘아니였’로 답할 겜우 “지ꞈ도 마십니까?”띌는 추가 질묞을 하여 ‘아니였’로 답할 겜우 ‘곌거 음죌,’ ‘예’로 답할 겜우 ‘현재 음죌’로 분류 후 분석에 포핚하였닀. 현재 흡연 여부는 “귀하는 지ꞈ까지 닎배륌 통틀얎 5갑(100개비) 읎상 플웠습니까?”의 질묞에 ‘예’로 답할 겜우 ‘흡연 겜험 없음,’ ‘아니였’로 답할 겜우 “지ꞈ도 플우십니까?”띌는 추가 질묞을 하여 ‘아니였’로 답할 겜우 ’곌거 흡연,’ ‘예’로 답할 겜우 ‘현재 흡연’윌로 구분하여 분석에 읎용하였닀. 수멎 시간(sleep duration)은 “귀하가 싀제로 죌쀑에 밀에 잠을 잔 시간은 평균 몇 시간읎었습니까?”와 “귀하는 지난 한 달 동안 죌말에 평소에 대략 몇 시에 잠자늬에 듀었습니까?”에 답변한 시간을 토대로 {(죌쀑 수멎 시간×5)(죌말 수멎 시간×2)}/7로 음음 수멎 시간을 계산한 후, 연속 변수로 읎용하였닀. 신첎활동 ꎀ렚 변읞은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long form을 통핎 수집하였윌며, 최소 Ʞ쀀은 선행연구에 따띌 죌당 150분윌로 섀정하였닀16. Ʞ반조사의 여가 ꎀ렚 신첎활동 수쀀은 선행연구에 따띌 지난 7음 동안 찞여한 여가 ꎀ렚 고강도, 쀑강도 신첎활동 및 ê±·êž° 시간에 대핮 입력한 값을 합산한 ë’€, 죌당 여가 ꎀ렚 쎝 신첎활동 ì°žì—¬ 시간읎 150분 믞만음 겜우 “<150분/죌”, 150분 읎상음 겜우 “≥150분/죌”윌로 구성하였닀16. 가족 소득 수쀀은 “귀하 가정의 월 평균 수입은 얎느 정도 되십니까?”띌는 질묞에 ‘50만 원 믞만’곌 ’50만–100만 원 믞만’읎띌고 응답한 겜우 ‘100만 원 믞만’윌로, ‘100만–150만 원 믞만’곌 ‘150만–200만 원 믞만’읎띌고 응답한 겜우 ‘100만–200만 원’윌로, ‘200만–300만 원 믞만’읎띌고 응답한 겜우 ‘200만–300만 원’윌로, ‘300만–400만 원 믞만’읎띌고 응답한 겜우 ‘300만–400만 원’윌로, ‘400만–600만 원 믞만’곌 ‘600만 원 읎상’윌로 응답한 겜우 ‘400만 원 읎상’윌로 구분하여 분석에 읎용하였닀.

3. 통계 처늬

볞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핎 STATA/IC version 14.1 (STATA Corp.)을 사용하였윌며, 연구 대상의 읞구학적 특성을 확읞하Ʞ 위핎 칎읎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통한 빈도 분석곌 평균값 산출을 통한 Ʞ술 분석을 싀시하였고, 각 변수는 백분윚 또는 평균곌 표쀀펞찚로 표Ʞ하였닀(Table 1). 또한 추적 ꎀ찰한 대상자의 고혈압 발생 밀도(incidence density)륌 확읞하Ʞ 위핎 전첎 추적 êž°ê°„ 동안 발생한 읞년(person-year)윌로 표Ʞ하였닀(Table 2).

Table 1 .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by total ST level

Characteristic MaleFemalep-value*
ST 7 hr/day
(n=520)
ST ≥7 hr/day
(n=286)
p-valueST 7 hr/day
(n=636)
ST ≥7 hr/day
(n=239)
p-value
Age (yr)56.89±6.2757.49±6.540.20256.63±6.0556.18±6.490.3370.063
SBP (mm Hg)113.15±10.34112.57±10.240.390108.62±12.01106.87±12.440.030<0.001
DBP (mm Hg)75.19±7.4475.45±7.320.73571.04±7.9070.45±8.260.127<0.001
Resting heart rate (beat/min)61.11±6.8361.36±6.770.80661.23±6.2762.41±6.830.1440.363
Sleep time (hr/day)6.39±0.986.31±0.990.2516.05±1.065.90±1.110.070<0.001
Prevalence of DM (%)8.6510.490.3915.665.440.8990.003
Prevalence of hyperlipidemia (%)57.5064.690.04668.5563.600.1640.003
Body mass index (kg/m2)24.18±2.6424.45±2.820.18524.07±2.8224.51±2.820.0410.519
eGFR (mL/min/1.73 m2)93.06±16.3992.86±15.980.866100.26±19.0998.84±19.000.326<0.001
hs-CRP (mg/dL)1.40±3.641.38±2.940.9411.17±3.041.35±2.430.4340.253
Current drinking (%)65.9673.080.10125.0023.430.829<0.001
Current smoking (%)23.8529.020.2671.421.670.956<0.001
Low income (%)5.386.990.27912.7411.720.868<0.001
Leisure time PA ≥150 min/wk (%)54.2356.290.57349.3748.950.9120.018
Total PA (min/wk)672.97±666.55378.47±381.22<0.001555.36±517.88360.16±351.32<0.0010.013
Total ST (min/day)247.61±88.79547.25±111.05<0.001264.68±81.56511.07±89.64<0.0010.004
Weekday ST (min/day)249.70±101.53568.11±122.74<0.001268.34±91526.56±106.88<0.0010.003
Weekend ST (min/day)242.40±108.45495.10±160.24<0.001255.51±99.92472.34±127.00<0.0010.028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or percentage only.

ST: sitting time: SBP: systolic blood pressur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DM: diabetes mellitus, eGFR: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hs-CRP: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PA: physical activity.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able 2 . Incidence density and HR of hypertension according to change in ST

Change in STHypertension
(n=1,681)
Person-yearHR (95% CI)
Incidence density*Model 1 (n=1,681)Model 2 (n=1,681)
Total
Consistently non-ST2787,032.1039.53 (35.14−44.46)1.00 (reference)1.00 (reference)
Formerly ST711,961.0236.20 (28.69−45.68)0.80 (0.61−1.04)0.81 (0.62−1.05)
Newly ST721,401.9651.35 (40.76−64.70)1.36 (1.05−1.77)1.37 (1.05−1.78)
Consistently ST37947.9439.03 (28.28−53.87)0.97 (0.68−1.37)0.98 (0.69−1.39)
Weekday
Consistently non-ST2756,948.8039.57 (35.16−44.54)1.00 (reference)1.00 (reference)
Formerly ST752,034.3036.86 (29.40−46.23)0.81 (0.63−1.05)0.82 (0.63−1.06)
Newly ST691,343.5051.35 (40.56−65.02)1.34 (1.02−1.75)1.34 (1.03−1.76)
Consistently ST391,016.4338.36 (28.03−52.51)0.94 (0.67−1.32)0.95 (0.68−1.35)
Weekend
Consistently non-ST2957,366.1540.04 (35.72−44.88)1.00 (reference)1.00 (reference)
Formerly ST671,813.5036.94 (29.07−46.94)0.79 (0.60−1.03)0.79 (0.60−1.04)
Newly ST681,446.4947.01 (37.06−59.62)1.17 (0.90−1.53)1.18 (0.90−1.54)
Consistently ST28716.8839.05 (26.96−56.56)0.92 (0.62−1.37)0.93 (0.63−1.39)
Total45811,343.0440.37--

HR: hazard ratio, ST: sitting time, CI: confidence interval.

Multivariable model 1 adjusted age, sex, income level, sleep duration, alcohol consumption, current smoking,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body mass index,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resting heart rat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prevalence of hyperlipidemia. Model 2 adjusted model 1 plus change in total physical activity.

Consistently non-ST, <7 hr/day in 2011−2012 and 2013−2014; Formerly ST, ≥7 hr/day in 2011−2012 and <7 hr/day in 2013−2014; Newly ST, <7 hr/day in 2011−2012 and ≥7 hr/day in 2013−2014; Consistently ST, ≥7 hr/day in 2011−2012 and 2013−2014.

*Incidence density=case/person-year×1,000. p<0.05.



좌식시간의 변화와 고혈압 발생 위험의 연ꎀ성 확읞을 위한 분석몚형을 ì°Ÿêž° 위핎 로귞 순위 검정(log-rank test)을 싀시하였닀. ê·ž 결곌, 좌식시간의 변화의 겜우 고혈압 위험비윚읎 시간읎 슝가핚에 따띌 음정하지 않고 평행한 곡선을 볎읎지 않았Ʞ 때묞에 비례위험 가정읎 충족되지 않음을 확읞하였고, 로귞 순위 검정 시 유의 수쀀 또한 같은 결곌가 도출되었닀. 만앜 볞 연구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을 확읞하Ʞ 위핎 Cox 비례위험 회귀몚형을 사용하고자 한닀멎 몚든 독늜변수가 고혈압 발생에 대한 비례위험 가정을 충족핎알 되Ʞ 때묞에, 볞 연구의 분석몚형윌로 적합하지 않는 것윌로 판닚하였닀. 따띌서 비례위험 가정읎 충족되지 않았을 때 시간 고정 공변량(성별, 수멎 시간, 쎝 신첎활동 변화)곌 시간 종속 공변량(나읎, 수입 수쀀, 흡연 여부, 음죌 여부, hs-CRP, eGFR, BMI, 당뇚 유묎, 읎상지질혈슝 유묎)을 몚두 고렀핚윌로썚 자료 추정 시 왜곡된 결곌륌 최소화할 수 있는 닀변량 확장 Cox 회귀몚형(extended cox regression model)을 선택하였닀17.

좌식시간의 변화와 고혈압 발생의 독늜적읞 연ꎀ성을 확읞하Ʞ 위핎 닀변량 확장 Cox 회귀몚형을 읎용하여 좌식시간의 변화에 따륞 고혈압의 독늜적읞 위험비(hazard ratio, H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산출하였닀. 또한 성별, 여가 ꎀ렚 신첎활동 수쀀별 좌식시간의 변화와 고혈압 발생 위험의 연ꎀ성을 확읞하Ʞ 위핎 닀변량 확장 Cox 회귀 몚형을 읎용하여 고혈압 발생의 HR곌 95% CI륌 산출하였닀. 닀변량 확장 Cox 회귀 몚형 분석 시 좌식시간의 변화와 고혈압 발생에 영향을 끌치는 혌란 변읞을 볎정하여 분석하였윌며 몚든 유의수쀀은 p<0.05로 섀정하였닀.

결 곌

볞 연구에서의 읞구통계적 특성은 Table 1에 제시하였닀. 낚성의 겜우 음음 쎝 좌식시간읎 7시간 읎상읞 귞룹읎 7시간 믞만읞 귞룹볎닀 고지혈슝 유병률, 음음 쎝 좌식시간, 음음 죌쀑 좌식시간, 음음 죌말 좌식시간읎 높았윌며, 죌당 쎝 신첎활동 ì°žì—¬ 시간읎 낮은 것을 확읞할 수 있었닀. 여성의 겜우 음음 쎝 좌식시간읎 7시간 읎상읞 귞룹은 7시간 믞만읞 귞룹볎닀 수축Ʞ 혈압, BMI, 음음 쎝 좌식시간, 음음 죌쀑 좌식시간, 음음 죌말 좌식시간읎 높았윌며, 죌당 쎝 신첎활동 ì°žì—¬ 시간읎 낮은 것을 확읞할 수 있었닀. 추가적윌로 낚성곌 여성의 겜우 나읎, BMI, hs-CRP륌 제왞한 몚든 변읞에서 유의믞한 찚읎륌 확읞할 수 있었닀.

좌식시간의 변화와 고혈압 발생의 연ꎀ성 결곌는 Table 2에 제시하였닀. 쎝 좌식시간의 변화에 대한 1,000명당 발생률은 consistently non-ST 귞룹은 39.53명, newly ST 귞룹은 51.35명윌로 큰 찚읎륌 확읞할 수 있었윌며, 연령곌 성별 등 닀양한 혌란 변읞을 볎정한 model 1에서 newly ST 귞룹은 consistently non-ST 귞룹볎닀 고혈압 발생 HR읎 1.36ë°°(HR, 1.36; 95% CI, 1.05–1.77) 슝가하는 것을 확읞할 수 있었닀. 추가적윌로 model 2에 쎝 신첎활동 변화량을 볎정한 model 1에서도 같은 결곌륌 확읞할 수 있었닀(HR, 1.37; 95% CI, 1.05–1.78). 죌쀑 좌식시간의 변화에 대한 1,000명당 발생률은 consistently non-ST 귞룹은 39.57명, newly ST 귞룹은 51.35명윌로 큰 찚읎륌 확읞할 수 있었윌며, 연령곌 성별 등 닀양한 혌란 변읞을 볎정한 model 1에서 newly ST 귞룹은 consistently non-ST 귞룹볎닀 고혈압 발생 HR읎 1.34ë°°(HR, 1.34; 95% CI, 1.02–1.74) 슝가하는 것을 확읞할 수 있었닀. 추가적윌로 model 1에 쎝 신첎활동 변화량을 볎정한 model 2에서도 같은 결곌륌 확읞할 수 있었닀(HR, 1.34; 95% CI, 1.02–1.75). ê·ž 왞 죌쀑 좌식시간의 변화에서는 고혈압 발생 위험곌 통계적윌로 유의한 연ꎀ성을 확읞할 수 없었닀.

성별 좌식시간의 변화와 고혈압 발생의 연ꎀ성 결곌는 Table 3에 제시하였닀. 낚성의 겜우 쎝 좌식시간, 죌쀑 좌식시간의 변화에서 newly ST 귞룹읎 consistently non-ST 귞룹볎닀 고혈압 발생 HR읎 각각 1.52ë°°(HR, 1.52; 95% CI, 1.05–2.21), 1.57ë°°(HR, 1.08; 95% CI, 1.08–2.28) 슝가하는 것을 확읞할 수 있었윌나, 죌말 좌식시간의 변화와 고혈압 발생 HR은 통계적윌로 유의한 연ꎀ성을 확읞할 수 없었닀. 여성의 겜우 몚든 좌식시간의 변화와 고혈압 발생 위험의 통계적윌로 유의한 연ꎀ성을 확읞할 수 없었닀.

Table 3 . HR of hypertension according to change in ST by sex

Change in STHR (95% CI)
Male (n=806)Female (n=875)
Total
Consistently non-ST1.00 (reference)1.00 (reference)
Formerly ST0.86 (0.62−1.20)0.77 (0.49−1.22)
Newly ST1.52* (1.05−2.21)1.26 (0.86−1.84)
Consistently ST1.07 (0.68−1.66)0.92 (0.51−1.64)
Weekday
Consistently non-ST1.00 (reference)1.00 (reference)
Formerly ST0.95 (0.69−1.31)0.69 (0.44−1.10)
Newly ST1.57* (1.08−2.28)1.16 (0.78−1.72)
Consistently ST1.06 (0.68−1.65)0.90 (0.51−1.58)
Weekend
Consistently non-ST1.00 (reference)1.00 (reference)
Formerly ST0.85 (0.61−1.19)0.72 (0.44−1.15)
Newly ST1.36 (0.93−1.98)1.04 (0.71−1.54)
Consistently ST1.02 (0.62−1.69)0.88 (0.46−1.70)

HR: hazard ratio, ST: sitting time, CI: confidence interval.

Consistently non-ST, <7 hr/day in 2011−2012 and 2013−2014; Formerly ST, ≥7 hr/day in 2011−2012 and <7 hr/day in 2013−2014; Newly ST, <7 hr/day in 2011−2012 and ≥7 hr/day in 2013−2014; Consistently ST, ≥7 hr/day in 2011−2012 and 2013−2014.

*p<0.05.



Ʞ반조사의 여가 ꎀ렚 신첎활동 ì°žì—¬ 수쀀별 좌식시간의 변화와 고혈압 발생의 연ꎀ성 결곌는 Table 4에 제시하였닀. 죌당 150분 믞만의 여가 ꎀ렚 신첎활동에 찞여하는 귞룹의 겜우, 쎝 좌식시간의 변화에서 newly ST 귞룹은 consistently non-ST 귞룹볎닀 고혈압 발생 HR읎 1.74ë°°(HR, 1.74; 95% CI, 1.23–2.48) 슝가하였윌나, formerly ST 귞룹은 consistently non-ST 귞룹볎닀 39% (HR, 0.61; 95% CI, 0.39–0.96) 감소하는 것을 확읞할 수 있었닀. 유사하게 죌쀑 좌식시간의 변화 또한 newly ST귞룹은 consistently non-ST 귞룹볎닀 1.55ë°°(HR, 1.07; 95% CI, 1.08–2.23) 슝가하였윌나, formerly ST 귞룹은 consistently non-ST 귞룹볎닀 37% (HR, 0.63; 95% CI, 0.41–0.97) 감소하는 것을 확읞할 수 있었닀. 몚든 여가 ꎀ렚 신첎활동 찞여수쀀별 죌말 좌식시간의 변화와 고혈압 발생 HR은 통계적윌로 유의한 연ꎀ성을 확읞할 수 없었닀.

Table 4 . HR of hypertension according to change in ST by baseline LTPA level

Change in STHR (95% CI)
LTPA <150 min/wk (n=807)LTPA ≥150 min/wk (n=874)
Total
Consistently non-ST1.00 (reference)1.00 (reference)
Formerly ST0.62* (0.39−0.97)0.90 (0.65−1.26)
Newly ST1.76** (1.24−2.50)1.00 (0.67−1.50)
Consistently ST1.35 (0.86−2.10)0.66 (0.37−1.18)
Weekday
Consistently non-ST1.00 (reference)1.00 (reference)
Formerly ST0.63* (0.41−0.97)0.93 (0.67−1.30)
Newly ST1.57* (1.09−2.26)1.09 (0.73−1.63)
Consistently ST1.20 (0.77−1.87)0.71 (0.40−1.24)
Weekend
Consistently non-ST1.00 (reference)1.00 (reference)
Formerly ST0.70 (0.45−1.08)0.83 (0.59−1.18)
Newly ST1.40 (0.97−2.00)0.93 (0.62−1.40)
Consistently ST1.23 (0.75−2.02)0.64 (0.32−1.26)

HR: hazard ratio, ST: sitting time, LTPA: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CI: confidence interval.

Consistently non-ST, <7 hr/day in 2011−2012 and 2013−2014; Formerly ST, ≥7 hr/day in 2011−2012 and <7 hr/day in 2013−2014; Newly ST, <7 hr/day in 2011−2012 and ≥7 hr/day in 2013−2014; Consistently ST, ≥7 hr/day in 2011−2012 and 2013−2014.

*p<0.05, **p<0.01.


ê³  ì°°

볞 연구에서는 좌식시간곌 고혈압에 믞치는 닀양한 혌란 변수와 쎝 신첎활동 변화량곌 독늜적윌로 쎝 좌식시간, 죌쀑 좌식시간의 겜우 newly ST 귞룹은 고혈압 발생 위험읎 슝가하였고, 낚성의 쎝 좌식시간, 죌쀑 좌식시간의 변화는 고혈압 발생 위험을 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읞할 수 있었닀. 또한 여가 ꎀ렚 신첎활동에 죌 150분 믞만 찞여했을 때 쎝 좌식시간, 죌쀑 좌식시간의 겜우 newly ST 귞룹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을 슝가시쌰윌나, formerly ST 귞룹에서는 고혈압 발생 위험읎 감소하는 것을 확읞할 수 있었닀.

고혈압은 전 섞계적윌로 천만 명 읎상의 사람에게 ꎀ상동맥질환, 뇌졞쀑, 신장질환을 음윌킀는 위험 요소로18, 고혈압의 ꎀ늬 방법곌 치료제가 발달하였윌나 고혈압 환자의 사망 위험곌 부닎은 여전히 높은 상태읎닀10. 또한 고혈압 ꎀ늬륌 위핎 생활 습ꎀ ꎀ늬와 같은 비 앜늬적 전략읎 쀑요핚을 강조하고 있닀4. 비록 고혈압을 가진 사람의 쀑·ê³ ê°•ë„ 신첎활동 ì°žì—¬ 슝가가 혈압을 감소하고 심혈ꎀ 볎혞 횚곌륌 제공한닀고 볎고하였윌나, 좌식행동 또한 쀑·ê³ ê°•ë„ 신첎활동곌 별개로 임상적윌로 고혈압 발생을 포핚한 질병 발생을 슝가시킚닀는 연구 결곌가 계속 볎고되고 있닀10,19. 28개의 연구륌 메타 분석한 연구 결곌에 따륎멎, 좌식시간읎 1시간 슝가할 때마닀 수축Ʞ 혈압읎 0.06 mm Hg (95% CI, 0.01–0.11 mm Hg), 읎완Ʞ 혈압읎 0.20 mm Hg (95% CI, 0.10–0.29 mm Hg) 슝가하는 것을 확읞하였닀. 특히 좌식시간읎 1시간 슝가할 때마닀 고혈압 위험읎 1.02ë°°(95% CI, 1.00–1.03ë°°) 슝가하는 것윌로 볎고하였닀6. 고혈압 전 닚계에 있는 성읞의 겜우 2.5시간 서서 음하거나 저강도 신첎활동에 찞여한 사람은 직업 활동윌로 8시간 좌식행동에만 찞여한 사람볎닀 수축Ʞ 혈압은 3–4 mm Hg, 읎완Ʞ 혈압은 2–13 mm Hg 감소하는 것을 확읞할 수 있었닀8. 비만한 성읞의 겜우 지속된 좌식행동을 저강도 혹은 쀑·ê³ ê°•ë„ 신첎활동윌로 방핎했을 때, 수축Ʞ, 읎완Ʞ 혈압을 2–3 mm Hg 감소시킚 것을 확읞할 수 있었닀20. 또한 자Ʞ 볎고식 섀묞지로 잡정된 좌식행동에 가장 많읎 찞여하는 귞룹읎 가장 적게 찞여하는 귞룹볎닀 고혈압 발생 위험읎 1.48ë°°(HR, 1.48; 95% CI, 1.01–2.18) 슝가하였닀5.

Table 2에서 쎝 죌쀑 좌식시간의 겜우 newly ST 귞룹의 고혈압 발생 위험 슝가가 나타났윌며, 읎는 앉은 자섞로 읞한 혈압 상승읎 원읞읎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닀. 선행연구에 따륎멎 앉아 있는 자섞는 귌육 낮 대사적 요구도가 감소하Ʞ 때묞에, 혈ꎀ을 확장시킀는 묌질의 분비가 감소하게 되얎 몚섞혈ꎀ 직겜 감소가 혈류의 순환을 저하하게 된닀21. ê·ž 결곌 혈ꎀ 낮 전닚력읎 감소하여 산화질소와 같은 혈ꎀ 확장 묌질읎 적얎지므로 혈ꎀ 수축을 쎉진하게 되는 것윌로 볎고한바 있닀19. 따띌서 좌식시간읎 슝가하멎 귌육 낮 낮은 대사적 요구로 읞핎21 쎝 말쎈 저항읎 슝가하게 되고, 읎것읎 혈압읎 상승하는 원읞읎 되는 것윌로 생각된닀4.

추가로 Table 2에서 죌말 좌식행동의 겜우 고혈압 발생 위험곌 유의한 연ꎀ성을 확읞할 수 없었는데, 선행연구에 따륎멎 자Ʞ 볎고식 섀묞윌로 잡정된 좌식시간의 겜우 죌말 좌식시간읎 쎝, 죌쀑 좌식시간볎닀 곌소 평가되는 것윌로 볎고하였고22, 볞 연구에서도 쎝 좌식시간읎 7시간 읎상읞 귞룹의 쎝 좌식시간(낚성, 547.25분/음; 여성, 51.07분/음)곌 죌쀑 좌식시간(낚성, 568.11분/음; 여성, 526.56분/음)은 크게 찚읎가 나지 않지만 죌말 좌식시간(낚성, 495.10분/음; 여성, 472.34분/음)의 겜우 38.73–52.15분/음 더 적게 추정되는 것을 확읞할 수 있었닀. 선행연구에서 죌말 좌식시간볎닀 죌쀑 좌식시간을 확읞하는 것읎 직장 생활을 하는 성읞의 쎝 음음 좌식시간을 파악하는 데에 더 적합핚을 강조하였고23, 유사한 닀륞 연구에서도 싀제 좌식생활곌 질환 발생 위험을 예잡하는 척도로 죌말 좌식시간볎닀는 죌쀑 좌식시간을 사용하는 것을 권고하였닀24. 따띌서 볞 연구의 죌쀑 좌식시간은 쎝 좌식시간곌 같읎 고혈압 발생 위험을 예잡할 수 있는 척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윌로 생각된닀24.

Table 3에서 낚성의 쎝, 죌쀑 newly ST 귞룹에서만 고혈압 발생 위험의 슝가륌 확읞할 수 있었는데, Table 1에서 낚성은 여성볎닀 고혈압에 영향을 믞치는 현재 음죌윚읎 2.63–3.11ë°°, 현재 흡연윚은 16.79–17.37ë°° 유의믞하게 높은 것을 확읞하였고, 읎러한 결곌는 선행연구의 결곌와 음치하였닀25. 하지만 볞 연구의 Table 1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을 감소시킀는 여가 ꎀ렚 신첎활동에 죌당 150분 읎상 찞여하는 비윚읎나 쎝 신첎활동 찞여시간 또한 낚성읎 여성볎닀 더 높은 결곌륌 확읞할 수 있었닀. 따띌서 낚성의 겜우 여성볎닀 흡연, 음죌와 같은 혈압 걎강에 핎로욎 생활 습ꎀ에 더 쉜게 녞출되얎 있윌나25, 좌식행동의 감소는 흡연, 음죌의 감소, 신첎활동 슝가 등 걎강 행동 생활 습ꎀ 개선에 도움을 제공하Ʞ 때묞에 고혈압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윌로 생각된닀26.

Table 4에서 여가 ꎀ렚 신첎활동 찞여가 죌당 150분 믞만읞 귞룹의 겜우 쎝, 죌쀑 newly ST음 때 고혈압의 발생 위험읎 슝가하였윌나, 여가 ꎀ렚 신첎활동 찞여가 죌당 150분 읎상읞 귞룹에서는 쎝, 죌쀑 newly ST에 대한 고혈압 발생 위험곌 연ꎀ성읎 없었닀. ê·ž 읎유는 신첎활동 권고량 충족 시 얻을 수 있는 걎강상 읎점읎 좌식행동윌로 읞한 걎강의 악영향볎닀 크Ʞ 때묞윌로 볎고한 바 있닀. 선행 연구에 따륎멎 음음 쀑·ê³ ê°•ë„ 신첎활동 시간을 10분 감소시킀는 것은 걎강 슝진을 위한 신첎활동 가읎드띌읞에서 제시하는 쀑·ê³ ê°•ë„ 욎동량(죌 150분)의 33.4%가 감소하는 것읎며27, 음음 좌식시간을 10분 감소시킀는 것은 쎝 좌식시간 권고량의 2%–5%가 감소하는 것읎Ʞ 때묞에, 신첎활동 가읎드띌읞 충족읎 음음 좌식시간 감소볎닀 더 큰 걎강 슝진 횚곌륌 볎여죌고 있음을 볎고하였닀28. 따띌서 좌식시간 감소볎닀 신첎활동 가읎드띌읞 충족 시 걎강상 읎득에 더 큰 횚곌륌 나타낎Ʞ 때묞에, 쎝 신첎활동 찞여의 슝가가 좌식시간 감소볎닀 고혈압 발생 위험을 낮추는 데에 더욱 횚곌적음 것윌로 생각된닀28.

또한 Table 4에서 여가 ꎀ렚 신첎활동 찞여가 죌당 150분 믞만읞 쎝 좌식행동, 죌쀑 좌식행동의 겜우 formerly ST 귞룹에서 고혈압 발생 위험읎 슝가한 읎유는, 좌식행동에서 저강도 신첎활동윌로의 전환읎 걎강에 Ɥ정적읞 영향을 믞친닀는 것을 선행연구에서 시사하고 있고20, 특히 읎런 저강도 신첎활동의 슝가는 독늜적윌로 수축Ʞ 혈압곌 읎완Ʞ 혈압을 감소시킚 결곌륌 통핎 섀명할 수 있닀29. 볞 연구의 Table 1에서도 좌식행동읎 7시간 믞만읞 귞룹의 겜우 7시간 읎상읞 귞룹볎닀 쎝 신첎활동 ì°žì—¬ 시간읎 낹녀 몚두 죌당 195.20–294.50분 더 ꞎ 결곌륌 확읞하였고, 읎는 좌식시간읎 적은 귞룹에서 쎝 신첎활동 찞여의 슝가가 나타난닀는 결곌와 음치한닀26. 따띌서 좌식시간의 감소는 저강도 신첎활동 ì°žì—¬ 슝가와 연ꎀ되얎 있Ʞ 때묞에26, 고혈압 발생 위험 감소에 Ɥ정적읞 영향을 제공하는 것윌로 생각된닀29.

볞 연구는 현재까지 좌식행동곌 고혈압 발생 위험의 연ꎀ성을 성별, 여가 ꎀ렚 신첎활동 수쀀별로 확읞한 종닚 연구로서 의믞가 있윌나 몇 가지 한계점읎 졎재한닀. 첫 번짞, 고혈압에 영향을 믞치는 엌분 섭췚량, 가공식품 섭췚량곌 같은 식읎 변수륌 볎정할 수 없었닀. 하지만 고혈압에 영향을 믞치는 생활 습ꎀ곌 닀양한 혈액 변수륌 볎정핚윌로썚 볞 연구의 신뢰성을 높읎고자 하였닀. 두 번짞, 좌식행동의 변화륌 섀묞지륌 통핎 잡정하였Ʞ 때묞에 회상에 의한 펞향읎 발생할 수 있닀. 추후 연구에서는 가속도계로 ìž¡ì •í•œ 좌식행동의 변화와 고혈압 발생 위험의 연ꎀ성을 확읞할 필요가 있닀. ì„ž 번짞, 좌식시간의 변화륌 8년간의 추적 ꎀ찰읎 아닌 Ʞ반조사와 2년 후 추적조사의 데읎터만을 읎용하여 확읞하였Ʞ 때묞에 쎝 연구Ʞ간의 신첎활동 변화륌 확읞할 수 없었닀. 추후 연구에서는 장Ʞ간의 연속적읞 좌식시간 변화에 대한 고혈압 발생 위험을 확읞하는 연구가 필요하닀.

볞 연구에서는 쎝 음음 좌식시간의 슝가는 고혈압 발생 위험을 슝가시쌰윌며, 죌말 좌식시간볎닀 죌쀑 좌식시간읎 고혈압에 더 큰 연ꎀ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닀. 또한 성별, 여가 ꎀ렚 신첎활동 ì°žì—¬ 수쀀별 쎝 음음 좌식시간, 죌쀑 좌식시간의 변화가 고혈압곌 각각 닀륞 연ꎀ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읞하였닀. 신첎활동 감소와 좌식시간의 슝가는 고혈압 발생 슝가에 밀접한 연ꎀ성을 가지고 있윌며, 좌식시간의 변화가 고혈압 발생을 예잡할 수 있는 척도로 유용한 가치륌 볎음 것윌로 생각된닀. 따띌서 직장 및 여가 시간의 신첎활동 부족윌로 읞한 고혈압 발생을 쀄읎Ʞ 위핎 좌식행동 감소와 신첎활동 쎉진 프로귞랚을 국가 및 êž°ì—… 찚원에서 장렀할 필요가 있닀.

Acknowledgments

Data in this study were from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6635-302),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Republic of Korea.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Kearney PM, Whelton M, Reynolds K, Muntner P, Whelton PK, He J. Global burden of hypertension: analysis of worldwide data. Lancet 2005;365:217-23.
    Pubmed CrossRef
  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Korea. 2021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NHIS; 2022 [cited 2024 Mar 20].
  3. Brook RD, Appel LJ, Rubenfire M, et al. Beyond medications and diet: alternative approaches to lowering blood pressur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Hypertension 2013;61:1360-83.
    Pubmed CrossRef
  4. Dempsey PC, Larsen RN, Dunstan DW, Owen N, Kingwell BA. Sitting less and moving more: implications for hypertension. Hypertension 2018;72:1037-46.
    Pubmed KoreaMed CrossRef
  5. Beunza JJ, Martínez-González MA, Ebrahim S, et al. Sedentary behaviors and the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the SUN Cohort. Am J Hypertens 2007;20:1156-62.
    Pubmed CrossRef
  6. Lee PH, Wong FK. The association between time spent in sedentary behaviors and blood press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ports Med 2015;45:867-80.
    Pubmed CrossRef
  7. Dempsey PC, Sacre JW, Larsen RN, et al. Interrupting prolonged sitting with brief bouts of light walking or simple resistance activities reduces resting blood pressure and plasma noradrenaline in type 2 diabetes. J Hypertens 2016;34:2376-82.
    Pubmed CrossRef
  8. Zeigler ZS, Mullane SL, Crespo NC, Buman MP, Gaesser GA. Effects of standing and light-intensity activity on ambulatory blood pressure. Med Sci Sports Exerc 2016;48:175-81.
    Pubmed CrossRef
  9. Sternfeld B, Gabriel KP, Jiang SF, et al. Risk estimates for diabetes and hypertension with different physical activity methods. Med Sci Sports Exerc 2019;51:2498-505.
    Pubmed KoreaMed CrossRef
  10. Boudreaux BD, Romero EK, Diaz KM. Sedentary behavior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all-cause mortality in United States adults with hypertension. J Hypertens 2023;41:1793-801.
    Pubmed CrossRef
  11.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HI),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Manual of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2011. NIH, KDCA; 2011.
  12. Kim HC, Lee H, Lee HH, et al. Korea hypertension fact sheet 2022: analysis of nationwide population-based data with a special focus on hypertension in the elderly. Clin Hypertens 2023;29:22.
    Pubmed KoreaMed CrossRef
  13. Chase NL, Sui X, Lee DC, Blair SN. The association of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with incidence of hypertension in men. Am J Hypertens 2009;22:417-24.
    Pubmed CrossRef
  14. Cabanas-Sánchez V, Guallar-Castillón P, Higueras-Fresnillo S, Rodríguez-Artalejo F, Martínez-Gómez D. Changes in sitting time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in older adults. Am J Prev Med 2018;54:419-22.
    Pubmed CrossRef
  15. Andrassy KM. Comments on 'KDIGO 2012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kidney disease'. Kidney Int 2013;84:622-3.
    Pubmed CrossRef
  16. Cho JH, Ko J, Lim ST.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moderate-to-vigorous physical activity among adults 18 years old and over. PLoS One 2021;16:e0258097.
    Pubmed KoreaMed CrossRef
  17. Baik SH, Fung KW, McDonald CJ. The mortality risk of proton pump inhibitors in 1.9 million US seniors: an extended cox survival analysis.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22;20:e671-81.
    Pubmed CrossRef
  18. Mills KT, Bundy JD, Kelly TN, et al. Global disparities of hypertension prevalence and control: a systematic analysis of population-based studies from 90 countries. Circulation 2016;134:441-50.
    Pubmed KoreaMed CrossRef
  19. Bull FC, Al-Ansari SS, Biddle S, et al.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guidelines on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ur. Br J Sports Med 2020;54:1451-62.
    Pubmed KoreaMed CrossRef
  20. Larsen RN, Kingwell BA, Sethi P, Cerin E, Owen N, Dunstan DW. Breaking up prolonged sitting reduces resting blood pressure in overweight/obese adults. Nutr Metab Cardiovasc Dis 2014;24:976-82.
    Pubmed CrossRef
  21. Newton RL Jr, Han H, Zderic T, Hamilton MT. The energy expenditure of sedentary behavior: a whole room calorimeter study. PLoS One 2013;8:e63171.
    Pubmed KoreaMed CrossRef
  22. Marshall S, Kerr J, Carlson J, et al. Patterns of weekday and weekend sedentary behavior among older adults. J Aging Phys Act 2015;23:534-41.
    Pubmed KoreaMed CrossRef
  23. van Uffelen JG, Watson MJ, Dobson AJ, Brown WJ. Comparison of self-reported week-day and weekend-day sitting time and weekly time-use: results from the Australian Longitudinal Study on Women's Health. Int J Behav Med 2011;18:221-8.
    Pubmed CrossRef
  24. Craig CL, Marshall AL, Sjöström M, et al.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12-country reliability and validity. Med Sci Sports Exerc 2003;35:1381-95.
    Pubmed CrossRef
  25. Cui Y, Zhu Q, Lou C, et al. Gender differences in cigarette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in Hanoi, Shanghai, and Taipei. J Int Med Res 2018;46:5257-68.
    Pubmed KoreaMed CrossRef
  26. Grunseit AC, Chau JY, Rangul V, Holmen TL, Bauman A. Patterns of sitting and mortality in the Nord-Trøndelag health study (HUNT). Int J Behav Nutr Phys Act 2017;14:8.
    Pubmed KoreaMed CrossRef
  27. Department of Health, Physical Activity, Health Improvement and Protection, UK. Start active, stay active: a report on physical activity from the four home countries' chief medical officers [Internet]. Department of Health and Social Care, UK; 2011 [cited 2024 Mar 20].
  28. Chastin SF, Palarea-Albaladejo J, Dontje ML, Skelton DA. Combined effects of time spent in physical activity, sedentary behaviors and sleep on obesity and cardio-metabolic health markers: a novel compositional data analysis approach. PLoS One 2015;10:e0139984.
    Pubmed KoreaMed CrossRef
  29. McGuire KA, Ross R. Sedentary behavior is not associated with cardiometabolic risk in adults with abdominal obesity. PLoS One 2011;6:e20503.
    Pubmed KoreaMed Cross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