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다리 스쿼트(single leg squat)는 계단 오르내리기와 같은 일상생활 동작뿐만 아니라 스포츠 동작과 관련이 있어, 재활 운동 및 스포츠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운동 중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1. 또한 한 다리 스쿼트를 수행하는 동안 지지측 다리의 엉덩관절 가쪽돌림근과 벌림근은 무릎 바깥굽음(valgus) 움직임에 대해 편심성 저항을 제공하고 엉덩관절의 벌림(abduction) 모멘트(moment)를 생산하기 때문에2,3 큰볼기근(대둔근, gluteus maximus muscle)과 중간볼기근(중둔근, gluteus medius muscle)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이며4, 체중 부하 운동 중 볼기근의 활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운동으로4, 체중 부하와 관련된 일상생활 및 스포츠 활동과 관련된 기능적 특성을 보다 잘 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한 다리 스쿼트를 수행하는 동안 보상 동작으로 과도한 무릎 바깥굽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3,5, 이로 인해 큰볼기근 및 중간볼기근의 약화가 발생할 수 있고6, 그와 함께 엉덩관절 안쪽돌림 근육인 넙다리근막긴장근(tensor fascia latae)과 긴모음근(adductor longus)의 과도한 근활성도가 나타날 수 있다7,8. 따라서 한 다리 스쿼트를 수행하는 동안 큰볼기근과 중간볼기근의 근 활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무릎 바깥굽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볼기근(둔근, gluteus muscle) 강화 운동, 시각적 피드백 훈련, 엉덩관절 벌림근 강화 운동, 코어(core) 근육 강화 운동, 기능적 운동 등 다양한 중재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9-11. 선행연구에서 건강한 성인 남녀를 17명을 대상으로 볼기근 강화 훈련 집단과 시각적 피드백 훈련 집단으로 나누어 6주간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 모두 한 다리 스쿼트 동안 무릎 바깥굽음과 관련 있는 엉덩관절 모음 각도(hip adduction angle)와 관상면 투영각도(frontal plane projection angle)가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9. 또 다른 연구에서는 비정상적인 무릎 운동학(동적 무릎 바깥굽음 및 안쪽돌림)을 보이는 군인 42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스쿼트 동작이 포함된 기능적 운동을 5주간 실시한 결과, 무릎 바깥굽음 각도와 엉덩관절 안쪽돌림 각도가 각각 10° 및 9°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10.
하지 정렬 및 운동학 변화와 함께 근 활성도를 향상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테이핑이 있으며, 재질에 따라 탄성 테이핑과 비 탄성 테이핑으로 구분하여 사용되고 있다. 키네시오 테이핑(kinesiology taping)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를 보면, Kim 등12은 여자 소프트볼 선수들에게 넙다리부 근육에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하고 6주간 스쿼트 운동을 실시한 결과, 테이핑 집단이 샴 테이핑(sham-taping) 집단보다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 및 넙다리곧은근의 활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Saki 등13은 동적 무릎 바깥굽음을 가진 여성 운동선수들에게 중간볼기근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후 한 다리 스쿼트를 수행한 경우가 플라시보 테이핑(placebo taping)을 적용한 경우보다 무릎 바깥굽음이 감소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비 탄성 테이핑을 이용한 멀리건 무릎 테이핑(Mulligan knee taping, MTK) 은 무릎뼈(patellar)와 접촉하지 않고 무릎 주위에 나선형(spiral)으로 적용하여, 넙다리뼈에 대해 정강뼈를 안쪽돌림시키거나 체중 부하 시 고정된 정강뼈에 대해 넙다리뼈의 가쪽돌림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14,15. 실제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FPS)을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MKT를 적용한 경우 한 다리 스쿼트 시 통증이 감소하고 최대 무릎 모음 및 최대 엉덩관절 안쪽돌림이 감소하였으며16, 넙다리뼈에 대한 정강뼈의 안쪽돌림이 증가하였다고 보고되었다17.
일반적으로 MKT가 한 다리 스쿼트를 수행하는 동안 엉덩관절 최대 안쪽돌림을 감소시켜 무릎 바깥굽음 감소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한 다리 스쿼트 동안 엉덩관절의 최대 안쪽돌림의 감소는 볼기근의 편심성 수축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2,3, 하지 근육의 활성도 변화에 대해서 조사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한 연구에서는 PFPS를 가진 여성을 대상으로 MKT 적용에 따른 한 다리 스쿼트 시 하지 근 활성도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나, PFPS의 원인이 되는 하지 근육의 동원 시간을 비교하였고 무릎 바깥굽음과 관련된 하지 근육의 근활성도 변화에 대해 조사하지 않았다16. 따라서 한 다리 스쿼트 동안 MKT 적용 유무에 따른 무릎 바깥굽음과 관련 있는 근육의 활성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 다리 스쿼트 동안 MKT 적용이 하지 근 활성도와 안쪽 무릎 변위 및 엉덩관절 모음 각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하지와 관련된 스포츠 활동에 참여도가 높은 만19세 이상 29세 미만 남자 대학생으로, 본 연구에 참여하기 전 6개월 이내에 하지의 수술 이력이 없고 척추 질환 병력, 신경학적 또는 정형외과적 질환이 없는 대상을 모집하였으며, 엉덩이, 무릎 또는 발목에 통증이 나타나는 대상은 제외하였다18. 본 연구절차는 부경대학교의 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았고(No. 1041386-202212-HR-90-01),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 및 방법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들은 후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20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Characteristic | Data |
---|---|
No. of participants | 20 |
Age (yr) | 24.35±3.21 |
Height (cm) | 175.35±3.85 |
Weight (kg) | 74.30±7.71 |
Dominant limb | |
Right | 20 (100) |
Left | 0 (0) |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only, mean±standard deviation, or frequency (percentage).
모든 측정은 동일한 실험실에서 진행되었으며, 대상자는 몸에 붙는 반바지를 입고 맨발인 상태로 실험에 참여하였다. 측정은 우세측(dominant) 다리로 진행하였으며, 우세측 다리는 축구공을 차는 데 사용할 다리를 질문하여 결정하였다1. 이후 운동학 및 근 활성도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동일한 검사자가 대상자의 우세측 다리에 반사 마커와 전극을 부착한 후, 학습 효과(learning effect)를 제거하기 위해 MKT 적용과 비 테이핑(non-taping)의 순서는 제비뽑기를 통해 무작위로 정하였다19. 실험 전 대상자는 한 다리 스쿼트 동작에 익숙해지기 위해 3–5회의 연습을 진행한 후 테이핑 적용 유무에 따라 한 다리 스쿼트를 각 3회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한 다리 스쿼트 시도 간 1분간 휴식시간을 제공하였다20,21. 모든 측정은 바닥에 미리 표시해둔 동일한 위치에서 진행하였다.
하지 근 활성도와 안쪽 무릎 변위(medial knee displacement)를 분석하기 위해 한 다리 스쿼트를 실시하였다. 한 다리 스쿼트를 측정하기에 앞서 양발을 11자가 되게 골반 너비로 서도록 한 후 체중을 지지하지 않는 다리측의 엉덩관절을 45°, 무릎관절을 90° 앞쪽으로 굽힘 된(flexion)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측정 동안 팔을 가슴 앞에서 교차하도록 하였다(Fig. 1)20. 한 다리 스쿼트는 분당 60 비트로 설정된 메트로놈을 사용하여 각각 2초 동안 편심성 수축을 통해 무릎관절 60° 굽힘 범위까지 내려가 60° 굽힘 범위에서 2초 동안 등척성 수축을 유지한 후 다시 2초 동안 동심성 수축을 통해 시작 자세로 돌아오는 순서로 운동을 실시하였다22. 대상자가 균형을 잃거나, 체중을 지지하지 않는 다리의 위치가 올바르지 않거나 또는 동작이 덜컥거리는(jurky)경우, 연속적이지 않을 경우에는 재측정하였다23.
무릎 굽힘 및 한 다리 스쿼트 깊이를 결정하기 위해 각도계(goniometer)를 사용하였으며, 각도계의 축을 넙다리뼈의 가쪽위관절융기(lateral epicondyle) 위에 위치시킨 후, 고정팔(stationary arm)은 가쪽복사(lateral malleolus)에, 움직임팔(movable arm)은 넙다리뼈의 큰돌기(greater trochanter)에 정렬하였다21. 이후, 각 대상자의 한 다리 스쿼트 시 무릎 굽힘 60°가 되는 깊이를 정의하기 위해 양팔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벽을 지지하도록 한 후 한 다리 스쿼트를 실시하고, 검사자가 각도계를 사용하여 60°를 측정하였다. 대상자가 무릎 굴곡 60°를 알 수 있도록 대상자의 뒤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를 설치하였다20.
한 다리 스쿼트 시 안쪽 무릎 변위와 엉덩관절 모음 각도를 분석하기 위해 한 다리 스쿼트 수행 지점에서 전방 2 m 거리에 60 cm 높이로 카메라를 설치하였으며24, 측정 전 모든 대상자의 양쪽 위앞엉덩뼈가시(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무릎뼈 중앙, 발목관절 중앙에 반사 마커를 부착하였다(Fig. 2)25. 안쪽 무릎 변위는 무릎뼈 중앙이 한 다리로 서있는 초기 위치에서부터 등척성 수축 동안 최대 안쪽 변위가 나타나는 위치로 정의하였고26, 엉덩관절 모음 각도는 위앞엉덩뼈가시에서 지면과 수직인 선과 위앞엉덩뼈가시에서 무릎뼈 중앙을 연결한 선의 사잇각으로 정의하였으며9, 모든 운동학적 자료는 측정 전 미리 각 대상자에 맞게 설정한 무릎 굽힘 60° 시점에서 분석하였다(Fig. 3).
한 다리 스쿼트 시 큰볼기근, 중간볼기근, 넙다리근막긴장근(tensor fasciae latae) 및 긴모음근(adductor longus)의 활성도를 표면 근전도 장비(mini DTS; Noraxon Inc.)를 사용하여 수집하고, Noraxon MR3 3.14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처리하였다. 전극 부착 전에 표면 근 활성도 신호에 대한 피부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극 부착 부위를 면도하였으며, 이후 알코올 솜으로 닦아내었다. 알코올이 마른 후에 Ag/AgCI 재질의 1회용 표면전극을 전극 사이에 2 cm 간격을 두고 근섬유와 평행한 방향으로 부착하였다. 큰볼기근의 전극 부착 부위는 두 번째 엉치뼈(sacrum)의 가시돌기(spinous process)와 넙다리뼈의 큰돌기를 대각선으로 이었을 때 절반 지점이며, 중간볼기근의 경우 엉덩뼈능선(iliac crest)과 넙다리뼈의 큰돌기 사이 거리의 1/3 지점, 넙다리근막긴장근의 경우 위앞엉덩뼈가시에서 2 cm 아래 그리고 약간 가쪽 지점, 긴모음근의 경우 두덩결합(pubic sym-physis)과 모음근결절(adductor tubercle) 사이 거리의 몸쪽 1/3 앞안쪽 허벅지에 부착하였다8,27,28. 이후 각 하지 근육에 대한 최대 수의적 등척성 근수축(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을 측정하였다(Fig. 4). 큰볼기근의 경우 대상자를 엎드린 자세에서 무릎을 90°로 굽히도록 한 후, 허벅지 뒤쪽을 끈으로 고정하여 엉덩관절 폄(extension) 방향으로 최대 수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28. 중간볼기근과 넙다리근막긴장근은 측정할 다리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옆으로 누운 자세(side lying position)에서 측정하였으며, 중간볼기근의 경우 측정할 하지의 엉덩관절을 약 35° 벌림하고 약간 폄 및 가쪽돌림된 위치를 끈으로 고정하여 엉덩관절 벌림 방향으로 최대 수축할 수 있도록 하였고, 넙다리근막긴장근의 경우 측정할 하지의 엉덩관절을 45° 굽힘 및 30° 벌림된 위치를 끈으로 고정하여 엉덩관절 벌림 방향으로 최대 수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28,29. 긴모음근의 경우 대상자를 바로 누운 자세(supine position)에서 무릎과 무릎 사이에 위치한 20 cm 두께의 물체에 대해 엉덩관절 모음 방향으로 최대 수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30. 최대 수의적 등척성 근수축은 5초간 3회 수행하였으며, 측정 간 휴식시간 60초를 제공하였다20,28-30. 모든 근 활성도 자료는 한 다리 스쿼트를 수행하는 동안 무릎관절이 2초간 60° 굽힘 범위까지 내려가는 편심성 수축 구간과, 60° 굽힘 범위에서 2초간 유지하는 등척성 수축 구간, 그리고 다시 2초간 시작 자세로 돌아오는 동심성 수축 구간에서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22. 수집된 근 활성도 자료는 band pass filter 10–390 Hz를 사용하여 필터링 및 제곱평균제곱근(root mean square)를 사용하여 평활화(smoothing)하였으며, 3회 수행하여 수집한 자료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최대 수의적 등척성 근수축에 대해 표준화하였다23.
반사 마커 및 전극 부착을 완료한 후에 동일한 검사자가 모든 대상자에게 테이핑을 적용하였고, 테이핑을 적용하기 전 테이핑 적용 부위를 알코올 솜으로 깨끗이 닦았다31. MKT는 대상자가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이 안쪽돌림 되고 무릎관절이 20° 굽힘 되도록 선 상태에서 비 탄성 테이프를 사용하여 종아리뼈머리(fibula head)에서 시작하여 정강뼈거친면(tuberosity of tibia) 아래, 안쪽 무릎관절선(medial knee joint line)과 오금부(popliteal space)를 통과하여 넙다리뼈의 앞쪽까지 적용하였다(Fig. 5)15.
본 연구에서 얻은 모든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3 for Windows (IBM Corp.)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고, 모든 자료에 대해 Shapiro-Wilk의 정규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에 따라 모수검정 방법 또는 비모수검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테이핑 유무에 따른 하지 근 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해 정규성을 만족하는 변인에 대해서는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정규성을 만족하지 않는 변인에 대해서는 Wilcoxon의 부호순위 검정(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였으며, 안쪽 무릎 변위 및 엉덩관절 모음 각도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모든 유의수준은 α=0.05로 설정하였다.
한 다리 스쿼트 동안 MKT 적용에 따른 엉덩관절 근 활성도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 다리 스쿼트 수행 시 편심성 수축 구간과 등척성 수축 구간에서 큰볼기근 활성도가 MKT를 적용한 경우(각각 15.65±8.89와 15.60±11.19)가 적용하지 않은 경우(각각 14.65±9.28와 14.81±10.60)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각각 t=3.354, p=0.001과 t=–2.240, p=0.025). 큰볼기근 동심성 수축 구간과 중간볼기근, 넙다리근막긴장근 및 긴모음근의 활성도는 모든 구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Table 2).
Table 2 . Differences in hip joint muscle activity and hip adduction angle with and without MKT application during single leg squat
Variable | MKT | Non-taping | t (p)/Z (p) |
---|---|---|---|
EMG (%MVIC) | |||
Eccentric contraction | |||
Gmax | 15.65±8.89 | 14.65±9.28 | 3.354 (0.001)*† |
Gmed | 34.39±26.67 | 33.00±22.07 | −0.672 (0.502) |
TFL | 13.90±7.51 | 13.97±7.54 | 0.193 (0.849) |
AL | 9.99±4.83 | 9.03±3.56 | −1.083 (0.279) † |
Isometric contraction | |||
Gmax | 15.60±11.19 | 14.81±10.60 | −2.240 (0.025)*† |
Gmed | 36.55±23.79 | 36.54±24.39 | −0.336 (0.737)† |
TFL | 16.24±10.45 | 16.78±10.38 | −1.083 (0.279)† |
AL | 13.38±5.96 | 12.98±4.74 | −0.870 (0.395) |
Concentric contraction | |||
Gmax | 24.93±12.94 | 24.99±14.67 | −0.373 (0.709)† |
Gmed | 42.10±21.62 | 43.18±24.20 | −0.709 (0.478)† |
TFL | 11.88±6.50 | 12.00±6.99 | −0.336 (0.737)† |
AL | 8.12±3.50 | 8.15±3.03 | 0.129 (0.898) |
Kinematic | |||
Knee displacement (cm) | 1.30±1.53 | 1.12±1.66 | −1.071 (0.298) |
Hip adduction angle (°) | 11.37±3.32 | 11.01±3.58 | −1.443 (0.165)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MKT: Mulligan knee taping, EMG: electromyography, Gmax: gluteus maximus muscle, Gmed: gluteus medius muscle, TFL: tensor fascia latae muscle, AL: adductor longus muscle.
*p<0.05, †non-parametric statistics.
한 다리 스쿼트 동안 MKT 적용에 따른 안쪽 무릎 변위와 엉덩관절 모음 각도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 다리 스쿼트 수행 시 안쪽 무릎 변위와 엉덩관절 모음 각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Table 2).
본 연구는 건강한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한 다리 스쿼트 동안 MKT 적용이 엉덩관절 근 활성도와 안쪽 무릎 변위 및 엉덩관절 모음 각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 다리 스쿼트 수행 시 큰볼기근의 활성도는 MKT를 적용한 경우가 적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나 MKT 적용으로 큰볼기근의 활성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했지만, 다른 엉덩관절 근육의 활성도와 안쪽 무릎 변위 및 엉덩관절 모음 각도는 테이핑 적용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MKT를 적용한 후 한 다리 스쿼트를 수행한 경우가 적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큰볼기근의 활성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다른 근육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한 다리 스쿼트 동안의 운동학적 움직임 변화로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 다리 스쿼트를 하는 동안 엉덩관절 회전에 대한 움직임의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않았지만, 선행연구에서 한 다리 스쿼트를 수행하는 동안 MKT를 적용한 경우가 적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엉덩관절의 안쪽돌림이 감소했다고 보고하였다14. 이에 따라 한 다리 스쿼트를 수행하는 동안 엉덩관절 안쪽돌림에 대해 큰볼기근의 편심성으로 조절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편심성 수축 구간에서 더 큰 활성화를 유도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한 다리 스쿼트 마지막 범위에 도달한 상태에서 엉덩관절 돌림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한 큰볼기근의 등척성 수축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MKT 적용으로 인해 엉덩관절 돌림 움직임을 조절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등척성 수축 구간에서도 더 큰 활성화를 유도한 것으로 판단된다.
중간볼기근을 포함한 넙다리근막긴장근과 긴모음근의 활성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도 운동학적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MKT는 사선으로 부착하기 때문에, 과도한 안쪽돌림 움직임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관상면에서의 움직임은 조절할 수 없다. 선행연구에서도 MKT를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서 엉덩관절 모음과 벌림의 움직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고16,17, 본 연구에서도 엉덩관절 모음 각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엉덩관절 벌림의 주동근인 중간볼기근과 넙다리근막긴장근, 그리고 엉덩관절 모음의 주동근인 긴모음근의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Kim 등12은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하고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넙다리부 근육의 활성도가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테이핑 적용에 따른 큰볼기근을 제외한 나머지 근육의 활성도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가 선행연구와 다르게 나타난 것은 테이핑 적용 후 6주간의 운동을 실시한 선행연구 방법과 테이핑 적용 후 즉각적인 효과를 확인한 본 연구의 방법적인 차이로 인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 다리 스쿼트 동안 MKT를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서 엉덩관절 모음 각도와 안쪽 무릎 변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엉덩관절 모음 각도는 관상면에서의 정렬을 나타내며, 중간볼기근의 편심성 작용으로 조절된다. 본 연구 결과에서 엉덩관절 모음 각도가 MKT 적용 후 0.3°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선행연구 결과에서 압력 생체되먹임을 이용한 한 다리 서기(single leg standing) 운동 동안 중간볼기근의 활성도와 엉덩관절 모음 각도가 각각 5.68%MVIC, 2.58° 만큼 증가한 것에 비추어 볼 때32, 본 연구 결과에서 엉덩관절 모음 각도가 0.3° 증가한 것은 매우 작은 변화로 중간볼기근의 활성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고, 이러한 결과가 엉덩관절 모음 각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라고 생각된다. 또한, 무릎 안쪽 변위는 동적인 동작 동안 무릎의 바깥굽음 정렬을 나타내는 또 다른 지표이지만33,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하여 무릎 안쪽 변위가 1 cm로 크지 않았기 때문에 MKT 적용 후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MKT는 한 다리 스쿼트 동안 과도한 엉덩관절 안쪽돌림을 감소시켜 무릎 바깥굽음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안되었다. 하지만 한 다리 스쿼트를 하는 동안 MKT 적용에 따른 무릎 바깥굽음과 관련 있는 엉덩관절의 근 활성도 변화에 대해서 조사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 다리 스쿼트 동안 MKT 적용 여부에 따른 무릎 바깥굽음과 관련 있는 엉덩관절의 근 활성도를 확인한 첫 연구이며, 그 결과 큰볼기근의 근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비 탄성 테이핑은 가격이 저렴하고 임상과 스포츠 현장에서도 적용이 쉽기 때문에 한 다리 스쿼트 동작이 포함된 훈련을 수행할 때 MKT 적용을 통한 큰볼기근의 활성도 증가와 이에 따른 훈련의 효과 증가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한 다리 스쿼트를 하는 동안 큰볼기근의 근 활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MKT 적용을 권장한다. 그러나 임상에서 이와 같은 테이핑을 적용하기 전에 적용 대상자의 피부 알레르기 유무 및 반응을 확인하여, 테이핑 적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 번째 무릎 바깥굽음은 엉덩관절 안쪽돌림, 모음 및 정강뼈의 가쪽돌림이 결합되어 나타났지만 본 연구에서는 엉덩관절 안쪽돌림만 감소시키는 방법만 적용하였다. 그래서 추후 연구에서는 엉덩관절 안쪽돌림뿐만 아니라 모음과 정강뼈의 가쪽돌림을 함께 조절할 수 있는 테이핑 적용 후 운동학과 하지 근육의 활성도 변화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두 번째 한 다리 스쿼트 동안 엉덩관절 모음 각도를 확인하고, 무릎 바깥굽음과 관련 있는 무릎 안쪽 변위를 분석하여 정량화하였으나, 무릎 바깥굽음을 측정하지 않았다. 추후 연구에서는 한 다리 스쿼트 동안 무릎 바깥굽음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세 번째는 연구 대상자들이 건강한 20대 남성으로, 모든 대상자로 일반화할 수 없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무릎 통증이 있는 대상자 혹은 동적 무릎 바깥굽음이 있는 대상자를 대상으로 조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테이핑은 위약 효과가 나타날 수 있지만 이것에 대해서 비교하지 않았다. 추후 연구에서는 플라시보 테이핑을 적용하여 잠재적인 위약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결론으로, 본 연구에서 MKT 적용이 동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엉덩관절 가쪽돌림의 주동근인 큰볼기근의 활성도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엉덩관절 모음 각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테이핑의 효과 또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Conceptualization, Data curation, Formal analysis, Methodology, Project administration, Supervision, Validation: all authors. Inve-stigation, Resources: KYJ, TGK. Visualization: KYJ. Writing–original draft: KYJ, TGK. Writing–review & editing: SYK, KY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