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알코올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는 다른 간질환 없이 간 내에 비정상적인 지질이 축적된 상태로1, 제2형 당뇨병, 심혈관질환과 같은 만성질환뿐만 아니라, 간염, 간경변, 간세포암종, 간이식 등의 간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NALFD의 유병률은 세계적으로 2019년 기준 29.8%이며, 1991년부터 현재까지 NAFLD의 유병률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2. 국내 연구결과에 따르면, NAFLD 환자가 2018년도에는 31.8만 명이었으나 2022년엔 40.7만 명으로 해가 거듭될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NAFLD로 인한 요양급여 비용이 2018년도에 비해 1.74배 증가한 만큼 질병에 대한 국가적, 국제적 재정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어, NAFLD의 유병률을 감소하기 위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2,3.
절대악력을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kg/m2)로 나눈 상대악력(relative grip strength, RGS)은 절대악력 그 자체보다 근육의 쇠약4과 심혈관질환 위험을 확인할 수 있는 더 효과적인 척도임을 시사하였으며5, 상대근력은 NAFLD 위험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고하였다6. NAFLD와 RGS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선행연구들의 경우 신체활동 수준을 고려하지 않아 분석 시 RGS와 NAFLD와의 독립적인 연관성을 확인하기 어려웠다6,7. 또한 신체활동 수준별 RGS와 NAFLD의 연관성을 확인한 연구는 횡단분석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6-8 신체활동 수준별 RGS와 NAFLD의 발생위험을 확인하기 어려웠으며,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6. 실제로 선행연구에 따르면 RGS와 NAFLD의 연관성에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매개되어 있을 것으로 보고하였고9, 이에 대하여 규칙적인 신체활동 수준과 RGS의 상호작용이 NAFLD 발생위험에 어떠한 긍정적 영향을 제공하는지 확인해 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규칙적인 운동참여 수준별 RGS와 NAFLD 발생위험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추가로 성별 규칙적인 운동참여 수준과 RGS의 상호작용이 NAFLD 발생위험과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건강 및 생활습관 정보 등을 조사하여 만성질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대규모 코호트 조사인 한국인 유전체 역학조사에서 얻은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2017–2018년 기반조사부터 2019–2020년 추적조사까지 2회 이상 참여한, 경기도 안성시에 거주하는 51세부터 88세인 일반 성인 총 4,192명을 선정하였다. 이 중 기반조사에서 심혈관질환(n=37), 암(n=27)이 있거나 NAFLD (n=673)가 있는 737명을 제외한 3,455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 결과에 따라 알코올로 인한 간손상을 배제하기 위해 현재 일일 알코올 섭취량이 기준치 이상(남성, ≥210 g/day; 여성, ≥140 g/day)인 대상자(n=729)를 제외하였고10, 최종적으로 NAFLD과 RGS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에 결측이 있는 대상자 1,006명을 제외한 평균 관찰기간 6.50년의 최종 1,702명을 모집하였다. 본 연구조사는 지역사회 기반조사 실시기관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산병원과 서울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거쳤으며(No. E2112/001-009), 연구 목적과 내용을 연구 참여자에게 이해시킨 후 연구 참여 서면 동의서에 서명을 받았다.
모든 조사 참여자에게 8시간 이상 공복상태를 유지하게 한 후 혈청 채취를 통하여 일반 혈액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 당일 채취된 혈액샘플은 현장에서 원심분리기로 처리 후, 혈액 분석 기관으로 보내 ADVIA 1800 auto analyzer (Siemens)를 통한 혈액검사로 확인한 혈당, 당화혈색소, C-반응성 단백질(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혈중 크레아티닌, 인슐린,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검체 처리 및 저장은 검진에서 채취된 혈액으로부터 추출된 혈청을 질병관리본부 유전체연구팀에서 일괄적으로 보관하였다. 추정 사구체여과율(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io, eGFR)은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혈중 크레아티닌을 이용한 공식(in mL/min/1.73 m2=175×SCr–1.154×age−0.203×[0.742 if female])으로 값을 산출하여 연속 변수로 분석에 이용하였다11.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수치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공식(fasting insulin×fasting blood glucose/405)을 활용하여 값을 산출하였고12, 인슐린 저항성은 선행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HOMA-IR 수치가 1.73 이상일 경우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규정하였다13.
RGS에 영향을 미치는 BMI의 경우 신장(cm), 체중(kg)을 이용한 공식(체중[kg]/신장 제곱[m2])을 통해 산출하였으며, 신장과 체중은 한 번씩 측정하였다. 제지방량의 경우 Zeus 9.9 (JAWON Medical)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분석하였다. 설문은 조사요원에 의한 일대일 면접 설문으로 실시하였으며, 당일 조사 후 설문을 검토하고 수정 보완 작업을 통하여 설문지의 완성도를 높였다. 음주 여부는 “귀하는 원래 술을 못 마시거나 또는 처음부터 술을 안 마십니까?”라는 질문에 ‘예’로 답할 경우 ‘음주 경험 없음’, ‘아니오’로 답할 경우 “지금도 마십니까?”라는 추가 질문을 하여 ‘아니오’로 답할 경우 ‘과거 음주’, ‘예’로 답할 경우 ‘현재 음주’로 분류 후 분석에 포함하였다. 현재 흡연 여부는 “귀하는 지금까지 담배를 통틀어 5갑(100개비) 이상 피웠습니까?”라는 질문에 ‘예’로 답할 경우 ‘흡연 경험 없음’, ‘아니오’로 답할 경우 “지금도 피우십니까?”라는 추가 질문을 하여 ‘아니오’로 답할 경우 ’과거 흡연’, ‘예’로 답할 경우 ‘현재 흡연’으로 구분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면시간(sleep duration)은 “귀하가 실제로 주중에 밤에 잠을 잔 시간은 평균 몇 시간이었습니까?”와 “귀하는 지난 한 달 동안 주말에 평소에 대략 몇 시에 잠자리에 들었습니까?”에 답변한 시간을 토대로 [(주중 수면시간×5)+(주말 수면시간×2)]/7로 일일 수면시간을 계산한 후, 연속 변수로 이용하였다. 규칙적인 운동참여 여부는 “몸에 땀이 날 정도의 운동을 주 1회 이상 규칙적으로 하십니까?”라는 질문에 ‘아니오’로 답변할 경우 ‘규칙적인 운동 미참여’, ‘예’로 답변할 경우 ‘규칙적인 운동 참여’로 구분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고혈압의 유무는 선행연구에 따라 고혈압 기준인 수축기 혈압 ≥140 mm Hg, 이완기 혈압 ≥90 mm Hg이거나, 자가 설문지를 통해 고혈압을 진단받았거나, 고혈압 약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을 “고혈압”으로 규정하였다14,15. 당뇨병의 유무는 공복 시 혈당이 126 mg/dL 이상이거나 당화혈색소가 6.5% 이상, 또는 “귀하는 당뇨병을 진단받은 적이 있습니까?”와 “경구용 당뇨병 약 현재 지속 여부”에 대한 설문항목에 ‘예’라고 응답하였을 경우 “당뇨병”으로 규정하였다16,17.
악력검사(grip strength test)는 측정방법이 비교적 간단하고 단시간에 결과를 알 수 있으며, 실제로 다른 근력과 상관성이 높다. 악력 측정장비는 JAMA 5030J1 (SAEHAN)을 이용하였으며, 의자에 앉아 팔의 각도를 90°로 유지한 상태에서 좌∙우 3회씩 측정하여 양쪽 악력의 평균 값을 기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MI를 보정한 RGS가 절대악력보다 만성질환 예측에 효과적인 지표임을 명시한 선행연구에 따라, 산출된 절대악력을 BMI로 나눈 값을 RGS로 규정하였다16. RGS는 성별로 구분하여 “low”, “middle”, “high”의 3분위로 나눈 뒤 분석에 이용하였다. 추가로 RGS와 규칙적인 운동참여 여부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RGS를 성별로 “low”, “high”로 나누고, 규칙적인 운동참여 수준을 “non-regular exercise”, “regular exercise”으로 나눈 뒤, 각각 “low RGS/non-regular exercise”, “high RGS/non-regular exer-cise”, “low RGS/regular exercise”, “high RGS/regular exercise”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NAFLD는 근력과 NAFLD의 역위관계를 확인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18, NAFLD 진단 특이도가 93.1%인 간지방증 지수(hepatic steatosis index, HSI)를 통해 산출하였으며([8×ALT/AST]+BMI [+, if diabetes mellitus; +, if female]), HSI가 36점을 초과했을 경우 “NAFLD”, 36점 이하일 경우 “non NAFLD”로 구분하였다19.
추적 관찰한 대상자의 NAFLD 발생밀도(incidence density)를 확인하기 위해 전체 추적기간 동안 발생한 인년(person-year)으로 표기하였다. RGS 수준과 NAFLD 발생의 연관성 확인을 위한 분석모형을 찾기 위해 로그 순위 검정(log-rank test)을 실시한 결과, RGS 수준(p=0.0001) 그룹 간의 NAFLD 발생비율의 차이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례위험 가정이 충족되었으므로 RGS와 NAFLD 발생의 독립적인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비례위험 Cox 회귀모형을 이용하였다. 규칙적인 운동참여 수준별 RGS 수준과 NAFLD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비(hazard ratio, HR)와 95%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 95% CI)을 산출하였으며, 추가로 성별에 따른 규칙적인 운동참여 수준과 RGS의 상호작용에 대한 NAFLD 발생위험을 확인하기 위해 비례위험 Cox 회귀모형을 이용하였다. 비례위험 Cox 회귀 모형 분석 시 NAFLD 발생위험과 RGS에 영향을 끼치는 연령, 성별, 골격근량, eGFR, hs-CRP, 음주 여부, 흡연 여부, 인슐린 저항성, 당뇨 유무, 고혈압 유무를 포함한 혼란 변인을 보정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유의확률은 p<0.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인구통계적 특성은 Table 1에 제시하였다. 규칙적인 운동 미참여 그룹의 경우 RGS 수준이 증가할수록 RGS, 골격근량, eGFR, 현재 음주율과 흡연율이 높았고, 나이, hs-CRP, HOMA-IR, 당뇨 유병률, 고혈압 유병률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로 모든 그룹에서 RGS 수준에 따른 수면 시간, 성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규칙적인 운동참여 그룹은 규칙적인 운동 미참여 그룹과 달리 hs-CRP와 현재 흡연율에서 RGS 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1 . Baseline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by RGS by participation of regular exercise
Characteristic of risk factor | Non-regular exercise (n=1,189) | Regular exercise (n=513) | |||||||
---|---|---|---|---|---|---|---|---|---|
RGS low (n=442) | RGS middle (n=407) | RGS high (n=340) | p-value | RGS low (n=125) | RGS middle (n=159) | RGS high (n=229) | p-value | ||
RGS (kg/BMI) | 0.80±0.27 | 1.09±0.32 | 1.39±0.43 | <0.001 | 0.89±0.29 | 1.10±0.32 | 1.45±0.42 | <0.001 | |
Sex male (%) | 37.10 | 39.80 | 37.06 | 0.657 | 50.40 | 40.88 | 44.54 | 0.275 | |
Age (yr) | 71.55±6.94 | 67.67±7.94 | 61.95±7.52 | <0.001 | 69.33±7.18 | 64.52±7.64 | 60.88±6.71 | <0.001 | |
Sleep time (hr/day) | 6.50±1.43 | 6.60±1.34 | 6.58±1.16 | 0.363 | 6.78±1.46 | 6.48±1.31 | 6.49±1.14 | 0.064 | |
Lean body mass (kg) | 36.69±7.17 | 38.60±7.38 | 39.88±7.72 | <0.001 | 39.81±7.33 | 39.97±7.16 | 42.17±8.26 | 0.003 | |
eGFR (mL/min/1.73 m2) | 91.70±22.71 | 95.00±21.72 | 96.65±21.14 | 0.001 | 88.62±22.16 | 96.40±18.70 | 96.06±17.63 | 0.002 | |
hs-CRP (mg/dL) | 1.81±4.23 | 1.28±4.08 | 1.25±3.17 | 0.039 | 1.75±3.42 | 0.96±1.27 | 1.45±5.85 | 0.714 | |
HOMA-IR | 2.10±1.60 | 1.91±0.91 | 1.72±0.67 | <0.001 | 2.11±1.17 | 2.08±0.99 | 1.79±0.76 | 0.001 | |
Diabetes (%) | 14.03 | 10.57 | 5.88 | 0.001 | 16.00 | 15.09 | 7.86 | 0.030 | |
Hypertension (%) | 63.57 | 49.88 | 39.12 | <0.001 | 60.00 | 51.57 | 37.55 | <0.001 | |
Current alcohol consumption (%) | 25.34 | 32.92 | 34.41 | 0.005 | 32.00 | 30.82 | 47.16 | 0.002 | |
Smoking status (%) | 8.37 | 13.27 | 16.18 | 0.002 | 10.40 | 10.69 | 11.35 | 0.277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RGS: relative grip strength, BMI: body mass index, eGFR: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hs-CRP: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OMA-IR: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규칙적인 운동참여 수준별 RGS 수준과 NAFLD 발생위험의 연관성에 대한 결과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규칙적인 운동 미참여 그룹의 1,000명당 NAFLD 발생밀도는 낮은 RGS의 경우 37.56명, 높은 RGS의 경우 20.38명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다양한 혼란 변인을 보정했을 때 중간 RGS, 높은 RGS는 낮은 RGS에 비해 NAFLD 발생위험이 각각 29% (HR, 0.71; 95% CI, 0.51–0.99), 78% (HR, 0.22; 95% CI, 0.13–0.35)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RGS 수준이 증가할수록 NAFLD 발생위험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trend<0.001). 규칙적인 운동참여 그룹의 1,000명당 NAFLD 발생밀도는 낮은 RGS의 경우 34.37명, 높은 RGS의 경우 25.69명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높은 RGS에서만 낮은 RGS에 비해 NAFLD 발생위험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HR, 0.40; 95% CI, 0.22–0.72).
Table 2 . Incidence density and hazard ratio of NAFLD according to RGS by participation of regular exercise
Characteristic of risk factor | Non-regular exercise (n=1,189) | Regular exercise (n=682) | |||||||
---|---|---|---|---|---|---|---|---|---|
NAFLD | Person-year | Incidence density† (95% CI) | Multivariable adjusted HR (95% CI) | NAFLD | Person-year | Incidence density† (95% CI) | Multivariable adjusted HR (95% CI) | ||
RGS (kg/BMI) | |||||||||
Low | 82 | 2,677.60 | 37.56 (30.25−46.63) | 1.00 (Reference) | 17 | 1,084.30 | 34.37 (21.36−55.29) | 1.00 (Reference) | |
Middle | 77 | 2,812.23 | 36.34 (29.06−45.43) | 0.71* (0.51−0.99) | 33 | 1,122.52 | 47.58 (33.82−66.93) | 0.61 (0.35−1.06) | |
High | 38 | 299.51 | 20.38 (14.83−28.01) | 0.22*** (0.13−0.35) | 29 | 1,194.54 | 25.69 (17.85−36.98) | 0.40** (0.22−0.72) | |
p-trend | <0.001 | 0.002 | |||||||
Total | 197 | 6,165.81 | 31.95 | - | 79 | 2,316.55 | 34.10 | - |
Multivariable adjusted age, sex, sleep tim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lean body mass, alcohol intake, smoking status, insulin resistance risk,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NAFL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RGS: relative grip strength, CI: confidence interval, HR: hazard ratio, BMI: body mass index.
*p<0.05, **p<0.01, ***p<0.001. †Incidence density=case/person-year×1,000.
성별 RGS와 규칙적인 운동참여 수준의 상호작용에 대한 NAFLD 발생위험의 연관성은 Table 3에 제시하였다. 모든 대상자의 high RGS/non-regular exercise 그룹과 high RGS/regular exercise 그룹의 경우 low RGS/non-regular exercise 그룹에 비해 NAFLD 발생위험이 각각 60% (HR, 0.40; 95% CI, 0.29–0.56), 54% (HR, 0.44; 95% CI, 0.31–0.63)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여성(high RGS/non-regular exercise: HR, 0.36; 95% CI, 0.24–0.53; high RGS/regular exercise: HR, 0.44; 95% CI, 0.28–0.68)과 남성(high RGS/non-regular exercise: HR, 0.49; 95% CI, 0.27–0.90; high RGS/regular exercise: HR, 0.52; 95% CI, 0.27–0.98) 모두 전체 대상자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Low RGS/regular exercise와 NAFLD 발생위험의 연관성은 남성 및 여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3 . Hazard ratio of NAFLD according to joint association between RGS and participation of regular exercise
Characteristic of risk factor | Total (n=1,702) | Male (n=682) | Female (n=1,020) |
---|---|---|---|
RGS×regular exercise status | |||
Low RGS/non-regular exercise | 1.00 (Reference) | 1.00 (Reference) | 1.00 (Reference) |
High RGS/non-regular exercise | 0.40*** (0.29−0.56) | 0.49* (0.27−0.90) | 0.36*** (0.24−0.53) |
Low RGS/regular exercise | 1.03 (0.73−1.46) | 0.74 (0.38−1.42) | 1.17 (0.78−1.76) |
High RGS/regular exercise | 0.44*** (0.31−0.63) | 0.52* (0.27−0.98) | 0.44*** (0.28−0.68) |
Values are presented as hazard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Multivariable adjusted age, sex, sleep tim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lean body mass, alcohol intake, smoking status, insulin resistance risk,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NAFL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RGS: relative grip strength.
*p<0.05, ***p<0.001.
본 연구에서는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한 그룹의 경우 전체 대상자의 중간 RGS, 높은 RGS는 낮은 RGS와 비교했을 때 NAFLD 발생위험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한 그룹의 경우에는 높은 RGS에서만 NAFLD 발생위험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참여 여부와 상관없이 높은 RGS는 NAFLD 발생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모든 성별에서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실제로 근력은 근육량과 독립적으로 노인의 이동성, 기능적 상태, 사망률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으며, 상대근력은 근육의 기능적 능력 감소로 인한 근감소증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20.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낮은 악력은 NAFLD 위험을 증가시켰고(odds ratio [OR], 3.62; 95% CI, 3.25–4.03), 악력의 증가는 NAFLD 유병률을 24% 감소시키는 것을(OR, 0.76; 95% CI, 0.68–0.82) 확인할 수 있었다6.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NAFLD와 RGS의 연관성을 확인한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높은 RGS의 경우 독립적으로 NAFLD와 역위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OR, 0.41; 95% CI, 0.28–0.60), 신체활동 수준을 구분했을 때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경우에만 연관성이 나타났고(OR, 0.31; 95% CI, 0.16–0.60) 비 활동적인 경우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8.
아직까지 RGS 수준과 NAFLD의 연관성에 대한 기전은 명확히 설명하기 어려우나 근력의 감소는 신체기능의 장애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신체활동 감소로 인한 NAFLD 증가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21,22. 높은 RGS는 신체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의미하므로11, 건강과 연관된 신체 기능을 높게 유지함으로써 NAFLD 발생위험에 대한 부정적인 요소들이 감소할 것으로 생각한다8,9.
Table 2에서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그룹에서 RGS 수준과 NAFLD의 연관성이 높게 나타난 이유는 신체적으로 활동적이지 않은 그룹의 RGS 증가가 NAFLD에 영향을 끼치는 염증물질 감소에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으로 생각한다23. 선행연구에서 규칙적인 운동 미참여는 규칙적인 운동참여보다 hs-CRP 수준이 1.3 mg/dL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규칙적인 운동 미참여 그룹은 규칙적인 운동참여로 인한 염증발생 억제의 긍정적 효과를 받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23. 하지만 근력과 NAFLD는 규칙적인 운동 미참여와 연관된 만성염증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보고되고11, 근력의 증가가 염증반응의 대표적인 인자인 hs-CRP를 감소시켜 NALFD 위험 감소에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하였다24. 이는 Table 1에서 규칙적인 운동 미참여 그룹은 RGS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hs-CRP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규칙적인 운동참여 그룹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한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규칙적인 운동 미참여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은 hs-CRP 수준23을 높은 RGS에서 나타나는 항 염증성 기전을 통해 경감시켜 NAFLD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25,26.
Table 3에서 규칙적인 운동참여 여부와 관계없이 높은 RGS를 가진 그룹(high RGS/non-regular exercise, high RGS/regular exercise)에서 NAFLD 발생위험이 감소한 이유는 RGS가 NAFLD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하여 주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낮은 RGS 그룹은 상대적으로 무거운 체중으로 인해 높은 제지방량을 가지고 있음에도 비만으로 인한 근육내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고, 높은 RGS를 가진 그룹은 낮은 근육량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좋은 근력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높은 RGS는 체중과 관련 없이 인슐린 저항성 감소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27. 본 연구의 Table 1에서 규칙적인 운동참여 여부와 관계없이 높은 RGS는 낮은 RGS에 비해 HOMA-IR 수치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RGS가 직접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고, 혈당운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28. 따라서 근육량 감소로 인한 근력의 감소는 간의 지방 축적, 염증반응 증가를 통해 인슐린 저항성 증가를 유발하여 NAFLD의 원인이 됨을 시사한 결과에 따라, 반복적인 근육 수축으로 인한 높은 RGS 유지는 인슐린 저항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하여 직ˑ간접적으로 NAFLD 발생위험을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22.
본 연구는 RGS 수준 및 규칙적인 운동참여 여부의 상호작용과 NAFLD 발생위험의 연관성을 비교 확인한 종단연구로서 의미가 있으나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첫 번째, 규칙적인 운동참여 여부를 단순 설문 형식으로 확인하였고, 참여 빈도 및 참여 시기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제 규칙적인 운동참여가 어느 정도 수준까지 진행되었는지 객관적인 판단을 하기 어렵다. 하지만 본 연구는 근력과 운동참여 여부에 대한 상호작용과 NAFLD 발생위험과의 연관성을 확인한 첫 번째 연구로서 추후 관련 연구의 발전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두 번째, NAFLD에 영향을 미치는 식이 변수를 보정할 수 없었다. 하지만 NAFLD에 영향을 미치는 흡연, 음주, 신체활동과 같은 생활습관과 HOMA-IR, hs-CRP, eGFR과 같은 혈액 변수를 보정함으로써 본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일일 음식섭취량이 독립적으로 RGS와 NAFLD 발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확인이 필요하다. 세 번째, NAFLD의 진단을 HSI 공식을 이용하여 유추하였기 때문에 직접적인 간의 지방 축적을 확인할 수 없었다. 네 번째, 상지 근력의 지표인 악력만으로 NAFLD 발생위험과의 연관성을 확인했기 때문에 하지, 복부 등 다른 부위의 근력수준에 대한 NAFLD 발생위험을 확인할 수 없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하지, 상지, 몸통의 RGS 수준별 NAFLD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그룹의 경우 전체 대상자의 중간 RGS, 높은 RGS는 낮은 RGS와 비교하여 NAFLD 발생위험이 유의하게 감소했고,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한 그룹의 경우에는 높은 RGS 수준에서만 NAFLD 발생위험 감소가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참여 여부와 상관없이, 높은 RGS는 NAFLD 발생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여성의 경우 high RGS/non-regular exercise 그룹이, 여성의 경우 high RGS/regular exercise 그룹이 low RGS/non-regular exercise 그룹과 비교했을 때 NAFLD 발생위험이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규칙적인 운동 미참여 그룹은 규칙적인 운동참여 그룹보다 높은 RGS에 대한 NAFLD 발생위험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상호작용에 대한 결과로 규칙적인 운동참여 여부와 관계없이 RGS 수준의 증가는 NAFLD 발생위험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RGS는 NAFLD 발생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RGS의 증가를 위해 규칙적인 운동참여는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NAFLD 발생위험을 감소하기 위해 규칙적인 신체활동 유지 프로그램 및 RGS 증진 프로그램을 국가적으로 장려할 필요가 있다.
Data in this study were from the KoGES (6635-302),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Republic of Korea.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Conceptualization, Data curation, Investigation, Project administration, Resources, Supervision, Validation: DP. Formal analysis, Methodology: SY, DP. Writing–original draft: SY, DP. Writing–review & editing: SY, DP.